Written by
Nostrss
on
on
[JS] Template literals
Template literals(템플릿 리터럴)
템플릿 리터럴
.. 먼가 이름만 들어도 먼가 거부감이 느껴지는 단어이다.
그래서 위의 링크의 문서를 자세히 읽어봤는데, 이미 내가 사용해본적이 있던 문법(?)이었다.
우리말로 풀어 쓰기가 조금 어려운데 예를 들어서 정리를 해봤다.
const firstWord = '템플릿'
const secondWord = '리터럴'
console.log('이것은' + ' ' + firstWord + ' ' + secondWord + ' 입니다')
//결과 이것은 템플릿 리터럴 입니다
위의 코드를 템플릿 리터럴
을 사용해서 다시 표현해보면 아래와 같다
템플릿 리터럴 사용시
const firstWord = '템플릿'
const secondWord = '리터럴'
console.log(`이것은 ${firstWord} ${secondWord} 입니다`)
//결과 이것은 템플릿 리터럴 입니다
똑같이 스트링을 표현하는데 그 표현 방식에 차이가 좀 있는 것 같다.
리터럴 템플릿 사용시 주의사항
1. 백틱을 사용한다.
(백틱)과 '(작은따움표)
모양의 차이가 보이는가? 미세하지만 모양에 다소 차이가 있다.- 백틱은 주로 키보드 숫자 1 왼쪽에 위치하는 기호이다
- 리터럴 템플릿을 사용할 때는 꼭 백틱으로 스트링 영역을 감싸줘야 한다. 백틱이 있어야 여기서부터는 리터럴 템플릿이 시작된다고 알 수 있게 된다.
2. 중간에 표현식을 사용할때는 ${expression} 형태로 넣어준다
console.log(`이것은 ${firstWord} ${secondWord} 입니다`)
다시 한번 예시를 보면 ${firstWord}
, ${secondWord}
표현식이 들어간 자리에 미리 할당에둔 변수의 스트링값이 표현 되게 된다.
3. 멀티라인 표현 방법의 차이
- 일반적인 멀티라인 표현 방법
console.log("string text line 1\n"+"string text line 2");
//결과
string text line 1
string text line 2
템플릿 리터럴
사용시 멀티라인 표현 방법
console.log(`string text line 1
string text line 2`)
차이를 눈치 챘는가? 템플릿 리터럴에서는 \n
대신에 엔터
로 코드에서 개행처리를 하면 바로 줄바꿈이 된다.
알아두면 텍스트를 스트링으로 표현할 때 유용할 것 같다.